리디노미네이션 뜻과 원인,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여러분 안녕하세요!
오늘도 저희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방문객과 이웃분들 모두 환영합니다~
뭔가 분위기가 요상한 요즘 잘 지내고 계신가요~?ㅎㅎ
코로나 때문에 올해가 어떻게 지나가는지도 모르게 빨리 지나가는 것 같아요ㅠㅠ
오늘 포스팅에서는 ‘리디노미네이션’이라는 개념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:)
포스팅 바로 시작하겠습니다!






리디노미네이션 뜻, 원인, 사례 총정리
<1. 리디노미네이션 뜻>
먼저 리디노미네이션 뜻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리디노미네이션 Redenomination이란 쉽게 말하면
한 국가에서 통용되어 쓰이는 통화의 액면의 비율을 낮은 숫자로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.
반대 개념으로 디노미네이션(denominatoin)은 화폐 단위를 낮추는 것입니다.
<2. 리디노미네이션 뜻 _ 실시 이유>
리디노미네이션의 뜻 이후에 설명드릴 개념은 리디노미네이션의 실시 배경, 왜 실시하는가 입니다.
리디노미네이션은 기본적으로, 인플레이션 (Inflation)에 대처하는 방법입니다.
화폐 단위 절하(단위를 하향 적용하는 것)가 리디노미네이션의 기본 개념입니다.
예를 들어, 10,000원이던 밥 값이 100원이 되고, 3,000원이던 커피값이 30원이 되는 것.
이렇게 화폐 단위가 일괄적으로 하향 적용되는 것이 바로 리디노미네이션 뜻 입니다!
<3. 리디노미네이션 뜻_우리나라도 시도한 적이 있다?>
그렇다면, 우리나라에서도 리디노미네이션을 시도한 적이 있을까요~?
정답은?
앞서 리디노미네이션을 시도하는 원인은 경제 규모에 비해 화폐 단위가 클 때!
즉,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처법으로 사용된다고 말씀드렸었죠!
우리나라에서도 실제로 2004년과 2015년에 각각 한국은행이 리디노미네이션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된 적이 있습니다!
하지만, 리디노미네이션 역시 오히려 시행과 동시에 경제에 큰 위험과 부담을
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시행되지는 못했답니다.
그러나, 1962년 6월 10일에는 밀어붙이기 식으로 살짝 시행되었다가 주춤하기도 하였답니다!
그리고 마지막으로, 현재 화폐 가치가 너무 과대평가되어 있다는 의견들이 대두되며 현재 이 시점에서 화폐개혁을 해야한다는 의견들도 심지어 존재한답니다!
하지만 또 반대로, 현실적으로 실행 불가능한 발언이라며 반대와 비난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존재합니다.
<4. 리디노미네이션, 해외 사례는 어떨까?>
그렇다면, 리디노미네이션의 해외 사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!
1) 리디노미네이션 성공사례 – 터키 (2005년시행)
첫번쨰로는 리디노미네이션의 성공사례를 말씀드리고자합니다!
바로 터키인데요, 터키 정부에서는 1998년에 리디노미네이션을 시행한 바 있습니다.
터키 중앙은행에 특별 위원회를 조직하여 무려 7년간 논의한 후
터키의 화폐 단위인 ‘리라’ 단위 조정에 나섰는데요,
100만 리라를 ->1 신리라로 변경했다고합니다!
화폐 단위의 엄청난 감축인데요, 지금으로부터 거의 20년 전에 리디노미네이션을 시행한 후
지금까지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어
리디노미네이션의 성공사례로 가장 먼저 꼽히는 나라가 되었답니다!
2)리디노미네이션 실패사례 – 짐바브웨 (2014년 시행)
두 번째로는 리디노미네이션의 실패사례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,
바로 짐바브웨입니다!
짐바브웨는 2014년 물가 급등에 대한 대처안으로
짐바브웨 달러의 단위를 1000 -> 1로 1/1000배로 낮추었습니다.
그러나 이는 성공하지 못하였고, 오히려 물가는 더 급등하게 되었습니다.
짐바브웨는 이후 두 번이나 문제해결을 위해
리디노미네이션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게됩니다.
결과적으로 2015년에는 짐바브웨 달러 자체를 폐지하게 되고,
안정화폐인 미국의 US달러를 사용하게 되었답니다.
3)리디노미네이션 실패사례 – 베네수엘라 (2008년 시행)
베네수엘라는 베네수엘라의 화폐 ‘볼리바르’의 가치를
2008년과 2019년에 각각 1/1000(천), 1/100000(십만)으로 낮춘 바 있습니다.
베네수엘라는 1999년에 우고 차베스 정권이 집권한 이후
굉장한 경제 위기를 겪었답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 베네수엘라의 중앙은행에서는
돈을 무분별하게 많이 찍어내게 됩니다.
이 결과로는 당연하게 물가가 상승했겠죠..
연간 100만 퍼센트나 되었다고 하니, 정말 그 규모가 어마어마하죠~?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2005년 이후 해외 리디노미네이션 사례 정리
(출처 : 한국은행)
터키 – 2005년 1월 / 100만 대 1
루마니아 – 2005년 7월 / 1만 대 1
아제르바이잔 – 2006년 1월 / 5000만 대 1
짐바브웨 – 2006년 8월, 2008년 8월, 2009년 2월 / 각각 1000대 1, 100억대 1, 1조 대 1
베네수엘라 – 2008년 1월, 2008년 8월 / 각각 1000대 1, 10만대 1
북한 – 2009년 1월 / 100대 1
잠비아 – 2013년 1월 / 1000대 1
투르크매니스탄 – 2009년 1월 / 5000대 1
가나 – 2007년 7월 / 10,000대 1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오늘은 리디노미네이션 뜻과 시행 원인, 시기,
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해외의 리디노미네이션의 사례에 대해
소개해드렸는데요!
어떠셨나요~?
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 어느정도 감이 잡히셨나요??
리디노미네이션에 궁금하셨던 분들의 궁금증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!
오늘 포스팅은 여기에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:)






+ 또 다른 도움이 될만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