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로장려금 적금 알고 계신가요?
코로나 사태로 인해 2020근로장려금이 10월 지급에서 8월 말-9월초 지급으로 바뀌었습니다.
그래서 초록 검색창에 근만 쳐도 바로 근로장려금에 관련된 단어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.
근로장려금은 부부합산 총소득이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해진 총소득 기준금액 미만이 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매년 꼭꼭 챙겨서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
그런데 잠깐!
혹시 다들 근로장려금만 수혜를 받고, 근로장려금 ‘적금’은 놓치고 계신 거 아닌가요?
근로장려금 혜택을 받는 수혜자들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대학생부터 직장에서 월급을 받는 직장인까지 다양합니다.
‘나는 적금을 들기가 조금 힘들어, 버거워.’하는 수혜자들은 이 글이 필요 없을 수도있겠지만, 적금을 알아보고 있거나 들 여유가 있는 분들! 은 이 글을 꼭 끝까지 다 읽어주세요!






근로장려금 적금 알고 계신가요?
1. 근로장려금 적금이란?
근로장려금을 수혜받은 수혜자 혹은 사회적배려계층이 가입할 수 있는 고금리 은행적금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.
대표적으로 농협은행의 ‘희망채움통장’, KB국민은행의 ‘KB국민행복적금’, 웰컴디지털뱅크의 ‘WELCOME디딤돌적금’, 웰컴저축은행의 ‘디딤돌 적금’, 제주은행의 ‘새희망키움적금’이 있겠습니다.
위에 말씀드린 세 은행은 근로장려금 적금 중에서도 혜택이나 금리, 조건이 좋아 많이들 가입을 하는 근로장려금 대표 적금들입니다.
이외에도 많은 근로장려금 적금들이 있는데요.
- NH농협은행의 NH희망채움통장 : 기간 3년, 자유적립형, 이율 4.45%, 금액 50만원-> 원금 18,000,000원에 이자 1,044,704원
- 국민은행의 국민행복적금 : 기간 1년, 정기적립형, 이율 5.65%, 금액 50만원-> 원금 6,000,000원에 이자 155,347원
- 웰컴저축은행의 디딤돌 적금 : 1년, 정기적립형, 이율 6.50%, 30만원-> 원금 3,600,000원에 이자 105,581원
- 제주은행의 새희망키움적금 : 기간 1년, 정기적립형, 이율 6.50%, 금액 20만원-> 원금 2,400,000원에 이자 71,487원
- SC제일은행의 SC행복적금 : 기간 1년, 정기적립형, 이율 3.80%, 금액 30만원-> 원금 3,600,000원에 이자 62,689원
제가 알고있는 속칭 근로장려금 적금의 종류는 위의 다섯가지가 있습니다.
단기간으로 조금씩 모으고 싶다면 웰컴저축은행의 디딤돌 적금을, 장기간으로 많이 모으고 싶다면 농협은행의 희망채움통장에 가입해보시는 건 어떨까요?
물론, 이것은 글쓴이의 주관적인 생각일 뿐! 개개인의 사정과 조건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좋은 통장을 골라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.
실제 글쓴이는 NH농협은행의 NH희망채움통장과 국민은행의 국민행복적금을 작년에 개설했습니다.
아직 대학생 신분으로 버는 약간의 알바비를 저축하기로 한 것인데요.
농협은행에 50만원, 국민은행에 50만원씩을 들었습니다. (물론, 두 통장에 모두 적금을 드는 것이 어려워 3년짜리인 농협은행 적금을 해약했습니다. 중간에 해약해면 이자가 얼마되지 않으니, 모두 곰곰이 생각해서 적금을 드시길 바라요.)
지금은 국민은행에만 매달 50만원씩 적금을 넣고 있습니다.
1년만 꾹 참고 50만원씩 모으면 이자가 15만원도 더 되니,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 꼭꼭 들어야겠죠?
2. 기타 Q&A
Q: “그럼 근로장려금 적금들은 근로장려금 수혜자들만 들 수 있을까요?”
A: “아닙니다.”
이것은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던 것 같습니다.
지금 제가 들고 있는 국민은행의 국민행복적금의 경우 소년소녀가장을 포함한 기초생활수급자와 북한이탈주민, 결혼이민여성과 한부모가족지원 보호대상자, 만 65세 이상의 차상위계층 역시 적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타 은행들 역시 비슷한 기준을 두고 있지만, 금리처럼 조금씩 차이가 날 수는 있습니다.
Q: “저는 국민은행에서 이 통장을 두 개 만들고 싶어요. 그렇게도 되나요?”
A: “같은 은행에서 여러 개를 계설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.”
한 은행에서는 1인 당 1개의 적금만 만들 수 있는데요.
여러 개의 적금을 원하신다면 위에서 제가 했던 것처럼 은행 당 1개씩 따로 개설을 하시면 되겠습니다.
Q: “저통장을 개설하려면 몸만 가도 되나요?”
A: “은행 별로 조금씩 다른 구비서류를 들고 가셔야 합니다.”
근로장려금 수혜자 자격으로 통장개설을 원할 경우 ‘근로장려금 수급사실 증명원’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.
신분증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. 이외에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‘수급자 증명서’가 필요하고, 자격별로 서류가 조금씩 다릅니다.
은행에 따라서도 서류가 조금씩 다르므로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적금 구비 서류를 확인하신 후 은행에 방문하시길 바랍니다.
또한, 비대면 개설이 불가능하고 대면 개설만이 가능합니다.
이렇게 근로장려금 적금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보았는데요.
제가 쓴 글에 관심이 있으시고 자격에 해당되신다면, 근로장려금 적금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시고 가입을 해 모두 좋은 금리를 받으시길 바랍니다.
저는 지금 국민은행의 국민행복적금이 만기 6개월을 남겨두고 있네요.
제 주위에는 해당 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친구들이 없어 알려주지 못했지만, 제 포스팅을 통해 여러분들 중 누구라도 적금을 가입해 좋은 이자를 얻어 가면 좋겠습니다.
코로나로 답답하고 힘든 요즘, 모두 건강하시고 일상에서의 소소한 행복이 가득한 하루하루를 보내시길 기원해봅니다.






+ 또 다른 도움이 될만한 정보